충남대 윤순길·김현석 교수팀 논문, 국제 과학저널 게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3-01-14 10:14 조회 182회 댓글 0건
본문
신소재공학과 윤순길, 김현석 교수팀 연구가 최근 세계적인 과학 저널인 ‘나노 에너지’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윤 교수와 김 교수 공동연구팀은 '할로젠화 이중 페로브스카이트 기반의 효율적인 기계 에너지 수확기 및 자가 충전 전력 장치용 저장 장치'(Halide double perovskite-based efficient mechanical energy harvester and storage devices for self-charging power unit)라는 논문을 발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에너지 수확과 저장을 동시에 가능한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리튬 이차 전지 일부 소재를 대체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육방면체 구조를 띤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는 빛을 전기로 바꾸거나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특징이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공동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주로 기계적 힘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국한된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를 활용, 고출력 에너지를 생산하고 리튬 이차 전지 음극 재료로 사용해 저장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또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가 안정성 및 경제성이 우수해 상용화될 경우 현재 사용 중인 리튬 이차 전지를 대체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윤순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를 리튬 이차 전지 음극 재료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라며 “리튬 이차 전지를 모두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로 대체할 수 있다면 핵심 물질인 리튬 확보에 어려움 겪는 문제를 다소 해소할 수 있어 더욱더 연구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630387?sid=102
윤 교수와 김 교수 공동연구팀은 '할로젠화 이중 페로브스카이트 기반의 효율적인 기계 에너지 수확기 및 자가 충전 전력 장치용 저장 장치'(Halide double perovskite-based efficient mechanical energy harvester and storage devices for self-charging power unit)라는 논문을 발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에너지 수확과 저장을 동시에 가능한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리튬 이차 전지 일부 소재를 대체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육방면체 구조를 띤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는 빛을 전기로 바꾸거나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특징이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공동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주로 기계적 힘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국한된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를 활용, 고출력 에너지를 생산하고 리튬 이차 전지 음극 재료로 사용해 저장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또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가 안정성 및 경제성이 우수해 상용화될 경우 현재 사용 중인 리튬 이차 전지를 대체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윤순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를 리튬 이차 전지 음극 재료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라며 “리튬 이차 전지를 모두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로 대체할 수 있다면 핵심 물질인 리튬 확보에 어려움 겪는 문제를 다소 해소할 수 있어 더욱더 연구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630387?sid=102
- 이전글교수님 생신 축하드립니다. 23.01.16
- 다음글윤순길, 김현석 교수팀, ‘Nano Energy’ 논문 게재 "리튬 이차 전지 일부 소재 대체 가능성 제시" 23.01.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